[영어문장구조론]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장점과 문제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06 07:51
본문
Download : 20061m_youngamunzangguzoronD.hwp
Ⅰ 서론, , Ⅱ 본론, , 1. 하위인접조건의 예시, 2. 하위인접조건의 일반성과 자연성, 1) 복합명사구제약의 대치, 2) Wh-섬제약의 대치, 2) 등위구조제약의 대치, 4) 좌분지제약의 대치, 5) 문장주어제약의 대치 , 3. 하위인접조건의 문제점, , Ⅲ 結論(결론) , , reference(자료)크기 : 38K
Download : 20061m_youngamunzangguzoronD.hwp( 53 )






하위인접조건,복합명사구제약,문장주어제약,등위구조제약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Ⅰ 서론
Ⅱ 본론
1. 하위인접조건의 예시
2. 하위인접조건의 일반성과 자연성
1) 복합명사구제약의 대치
2) Wh-섬제약의 대치
2) 등위구조제약의 대치
4) 좌분지제약의 대치
5) 문장주어제약의 대치
3. 하위인접조건의 문제가되는점
Ⅲ conclusion
하위인접조건(Subjacency Condition)은 Chomsky(1973)에 의하여 제안된 이론(理論)으로서, Move-α의 적용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인데, 원래 Ross(1967)의 섬제약에서 발전한 것이다. No constituent can move across more than one bounding node in any single rule application. ( bounding nodes…(생략(省略))
설명
Ⅰ 서론, , Ⅱ 본론, , 1. 하위인접조건의 예시, 2. 하위인접조건의 일반성과 자연성, 1) 복합명사구제약의 대치, 2) Wh-섬제약의 대치, 2) 등위구조제약의 대치, 4) 좌분지제약의 대치, 5) 문장주어제약의 대치 , 3. 하위인접조건의 문제점, , Ⅲ 결론 , , FileSize : 38K , [영어문장구조론]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장점과 문제인문사회레포트 , 하위인접조건 복합명사구제약 문장주어제약 등위구조제약
레포트/인문사회
[영어문장구조론]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의 장점과 문제
다. 그런데 이 조건은 Chomsky가 Ross 의 복합명사구제약과 주어절제약 그리고 등위구조제약의 세 가지를 모두 이 하위인접조건으로 대치하여 설명(explanation)할 수 있다고 제안해 낸 조건으로, 그 定義(정이)를 요점하면 다음과 같다. 하위인접조건 문장의 어떤 요소가 두 개 이상의 제한경계점을 넘어갈 수 없다는 제한조건이다. 다시 말해 Move-α는 두 개의 명사구경계나 절경계를 넘어 갈 수 없는 원칙을 의미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