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report] 제 6 의식과 말나식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0-28 14:59
본문
Download : [레포트] 제 6 의식과 말나식.hwp
즉 의식은 前五識에 의하여 식별되는 대상을 다시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마음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따
2 意識의 어원(語源)과 意根의 관계
의식은 본래 앞에서 말한 전오식과 함께 단순히 識이라고만 호칭되었던 것이다.
그러나 비록 명칭은 같다 하더라도 그 명칭으로 나타내는 내용에 있어서는 원시불교와 부파불교 및 대승불교가 서로 크게 다르다.
여기서 전념이라는 것은 전 오식(五識)과 의식(意識)이 앞 생각과 뒷 생각을 나타내는 데 이중 앞 생각을 뜻한다.
그들이 이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는 앞 생각은 앞에서 없어지면서 뒷 생각을 발생시키는 바탕이 …(To be continued )
레포트/기타
[레포트] 제 6 의식과 말나식 , [레포트] 제 6 의식과 말나식기타레포트 , 레포트 제 의식과 말나식
다. 그런데 이 식의 이름을 각기 그 식(識)이 의지하는 의지처인 근(根)의 이름을 따서 식명을 붙인다는 원칙에 의허여 의식이라고 하게 되었다고 한다.)을 기초로 이를 다시 판단하는 마음 작용을 말한다.
그러므로 의근을 일명 심근(心根)이라고도 부른다.
가] 의식(意識)과 의근(意根)
의식이라는 명칭은 본래 원시불교와 부파 불교에서도 이미 써 왔던 이름이다.
먼저 원시불교상에서는 의근이 따로이 무엇이라고 밝히지 않고 단지 안근 이근 비근 설근 신근 의근 등으로 병렬 나열하여 밝히고 있따
(잡아함경 304 육륙경 - 한글대장경 권 6 P 255 )
그러나 부파불교에 들어와 보면 식(識)이 의지하는 소의근(所依根)의 이름을 따서 식의 이름을 붙이지만 의식이 의지한다는 의근의 사상에 있어서는 전념을 의근으로 보아 안근(眼根)등이 육체상의 기관인 것과는 다르게 파악하고 있따
그 내용을 보면 부파불교에서는 의식의 의지처인 의근은 안근등과 같이 육체의 기관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정신적인 것 즉 마음의 작용 중 앞의 작용 즉 전념(前念)이라고 단정하였다.
[report] 제 6 의식과 말나식
레포트,제,의식과,말나식,기타,레포트
설명
Download : [레포트] 제 6 의식과 말나식.hwp( 25 )
[report] 제 6 의식과 말나식
순서
![[레포트]%20제%206%20의식과%20말나식_hwp_01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A0%88%ED%8F%AC%ED%8A%B8%5D%20%EC%A0%9C%206%20%EC%9D%98%EC%8B%9D%EA%B3%BC%20%EB%A7%90%EB%82%98%EC%8B%9D_hwp_01.gif)
![[레포트]%20제%206%20의식과%20말나식_hwp_02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A0%88%ED%8F%AC%ED%8A%B8%5D%20%EC%A0%9C%206%20%EC%9D%98%EC%8B%9D%EA%B3%BC%20%EB%A7%90%EB%82%98%EC%8B%9D_hwp_02.gif)
![[레포트]%20제%206%20의식과%20말나식_hwp_03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A0%88%ED%8F%AC%ED%8A%B8%5D%20%EC%A0%9C%206%20%EC%9D%98%EC%8B%9D%EA%B3%BC%20%EB%A7%90%EB%82%98%EC%8B%9D_hwp_03.gif)
![[레포트]%20제%206%20의식과%20말나식_hwp_04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A0%88%ED%8F%AC%ED%8A%B8%5D%20%EC%A0%9C%206%20%EC%9D%98%EC%8B%9D%EA%B3%BC%20%EB%A7%90%EB%82%98%EC%8B%9D_hwp_04.gif)
![[레포트]%20제%206%20의식과%20말나식_hwp_05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A0%88%ED%8F%AC%ED%8A%B8%5D%20%EC%A0%9C%206%20%EC%9D%98%EC%8B%9D%EA%B3%BC%20%EB%A7%90%EB%82%98%EC%8B%9D_hwp_05.gif)
![[레포트]%20제%206%20의식과%20말나식_hwp_06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A0%88%ED%8F%AC%ED%8A%B8%5D%20%EC%A0%9C%206%20%EC%9D%98%EC%8B%9D%EA%B3%BC%20%EB%A7%90%EB%82%98%EC%8B%9D_hwp_06.gif)
제 6 의식과 말나식
1 제 6 의식의 개념(槪念)
제 6 의식이라는 말은 감각기관을 통하여 받아들인 감각 내용인 전 오식(眼識 耳識 鼻識 舌識 身識 - 이를 前五識이라고 한다.